본문 바로가기
IT

로컬에 워드프레스 설치하고 실행하기

by MtoZ 2024. 2. 26.

로컬에 워드프레스를 실행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비트나미(bitnami)를 이용하는 방법이 잘 알려져 있지만 개발자가 많이 사용하는 도커(Docker)를 이용해 워드프레스를 설치하고 서버를 실행하는 방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Docker란?

도커(Docker)는 리눅스의 응용 프로그램들을 프로세스 격리 기술들을 사용해 컨테이너로 실행하고 관리하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이다.
위키피디아

쉽게 말하면 리눅스위에서 동작하는 버츄얼 머신 입니다. AWS, Google Cloud, Azure 등 많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에서 지원하고 있는 사실상 업계 표준의 가상화 기술입니다.

워드프레스 로컬에 설치하고 실행 방법

1. Docker Desktop 설치

Docker Desktop 페이지에서 사용하는 플랫폼에 맞게 인스톨러를 다운 받고 설치합니다. 지원하는 플랫폼은 Windows, Mac, Linux 입니다.

2. 설치한 Docker Desktop 실행

실행하고 첫화면에서 계정에 로그인하여 사용하거나 계정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계정없이 사용하길 원한다면 "Continue without signing in"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설문(Survey)이 나오면 스킵해도 됩니다.

3. wordpress 이미지 다운

Docker 이미지는 Docker 플랫폼에서 실행될 애플리케이션과 그에 필요한 모든 것을 포함하는 가상화된 환경을 정의하는 템플릿입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Docker 이미지는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모든 파일, 라이브러리, 환경 설정 등을 패키징한 것입니다.

  • 상단에 가운데에 "Search for images"를 클릭

  • wordpress를 검색하고 wordpress 이미지 위에 마우스를 올리면 나타나는 "Pull" 버튼 클릭하여 이미지를 다운 받습니다.

4. 워드프레스 실행하기

터미널에서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고 실행합니다.

docker run --name some-wordpress -p 8080:80 -d wordpress

명령어에 대해서 설명하자면

  • docker run [옵션] wordpress: 이미지의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실행
  • -name some-wordpress: 컨테이너(container)의 이름을 "some-wordpress"로 지정.
  • -p 8080:80: container의 80포트를 로컬의 8080포트 또는 지정된 숫자의 포트로 바인딩합니다.
  • -d: 백그라운드로 실행

Docker DesktopContainer 탭에서 실행된 some-wordpress라는 이름의 컨테이너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명령어를 똑같이 입력했다면 브라우저에서 localhost:8080으로 워드프레스에 접속 할 수 있습니다.